본문 바로가기
무(릉)도(원) 산업

트럼프의 멕·캐나다 관세 정책, 美 자동차 업계에 미치는 영향…자동차 가격 최대 25% 상승 전망

by 무아지경_250223 2025. 3. 5.
반응형

트럼프의 멕·캐나다 관세 정책, 美 자동차 업계에 미치는 영향…자동차 가격 최대 25% 상승 전망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정책을 추진하면서, 미국 자동차 업계는 큰 충격을 받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관세로 인해 차량 가격이 최대 25%까지 오를 것이라는 경고를 내놓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 부담 증가와 자동차 시장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 글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자동차 업계에 미치는 영향, 가격 상승 원인, 소비자 부담 증가, 업계의 대응 방안 등을 분석하며, 향후 미국 자동차 시장이 어떻게 변화할지 전망해 본다.


1. 트럼프의 멕시코·캐나다 관세 정책이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의 배경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동안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을 체결하며, 기존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대체했다. 이 협정은 북미 지역 간 무역 장벽을 낮추고 미국 제조업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가 멕시코 및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자동차를 포함한 주요 산업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핵심 내용

  •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자동차 및 부품에 최대 25%의 관세 부과 가능성
  • 자동차 외에도 철강, 알루미늄 등 핵심 소재에도 높은 관세 적용
  • 멕시코와 캐나다에 공장을 둔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

2. 미국 자동차 가격이 왜 오를까?

(1) 부품 원가 상승

미국 자동차 업계는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자동차 부품 비율이 매우 높다.

  • 현재 미국에서 생산되는 차량의 70% 이상이 멕시코산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 캐나다에서도 많은 핵심 부품이 수입되고 있다.

관세 부과로 인해 부품 원가가 상승하면 자동차 제조 비용도 함께 증가하며, 이는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2) 철강·알루미늄 가격 인상

자동차 생산에 필수적인 철강과 알루미늄도 관세 적용 대상이다.

  • 트럼프가 철강(25%)과 알루미늄(10%) 관세를 부과할 경우, 자동차 제조 원가가 더욱 증가한다.
  • 이로 인해 자동차 업계는 생산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반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3) 생산 공장의 이전 비용 증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생산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할 경우, 공장 건설 및 노동 비용이 급격히 증가한다.

  • 특히 미국 내 노동력 비용은 멕시코보다 4~5배 높아 기업들의 부담이 크다.
  • 결국 이러한 비용이 차량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3. 미국 소비자 부담 증가와 자동차 시장 변화

(1) 차량 가격 상승 전망

미국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의 관세 부과로 인해 차량 가격이 최소 10~25% 상승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예를 들어,

  • 현재 미국에서 **평균 4만 달러(약 5,300만 원)**에 판매되는 차량이
  • 관세 영향으로 5만 달러(약 6,600만 원)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소비자 부담을 증가시키고, 자동차 수요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2) 신차 판매량 감소

차량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신차 구매를 미루거나 중고차 시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 이미 미국의 자동차 시장은 전기차와 친환경차의 확산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 관세로 인해 내연기관 차량의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대체 이동수단(전기차, 공유 모빌리티 등)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3) 자동차 금융업계 타격

많은 소비자들이 오토론(자동차 할부 금융)을 통해 차량을 구매하고 있다.

  • 차량 가격이 상승하면 대출 금액과 이자가 함께 증가하게 되고,
  • 이는 소비자의 금융 부담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결국 자동차 금융업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4. 자동차 업계의 대응 전략

(1) 멕시코·캐나다 생산 라인 유지 vs 미국 이전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현재 생산 공장을 유지할지, 미국으로 이전할지 고민하고 있다.

  •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 공장을 증설하는 방안이 있지만, 이는 비용이 너무 크다.
  • 반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생산을 유지하면서 관세를 감수하는 선택도 고려되고 있다.

어느 쪽을 선택하든 기업들의 비용 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 대체 부품 공급망 구축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부품을 다른 국가에서 수입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 한국, 일본, 유럽 등에서 부품을 조달하는 전략을 통해 관세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 하지만 물류비용 증가가 또 다른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

(3) 전기차 시장 확대로 대응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전기차 생산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대응하고 있다.

  • 미국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지원 정책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 내연기관 차량보다 전기차 생산으로 전환하면 시장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5. 결론: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자동차 시장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트럼프의 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정책이 현실화된다면,

  • 미국 자동차 업계는 차량 가격 상승, 생산 비용 증가, 판매량 감소 등 심각한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 소비자들은 더 비싼 자동차를 구매해야 하며, 자동차 금융업계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 내 생산 확대, 대체 공급망 구축, 전기차 생산 확대 등의 방법을 통해 대응하고 있지만, 여전히 큰 도전 과제가 남아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 자동차 시장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며,
업계와 소비자 모두에게 상당한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