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들어, 미국의 항구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들이 정치적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금 추진 중인 중국산 선박에 대한 항구세 부과안이 가시화되면서, 벌크선 업계와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미국에 기항하는 중국산 선복은 얼마나 될까요?
📊 미국 기항 선박 중 중국산 비중
- 벌크선(Bulk Carrier): **45%**가 중국산
-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24%**가 중국산
- 기타 특수선박: 상대적으로 중국산 비중이 낮음
즉, 미국과 거래하는 벌크선의 절반 가까이가 중국산이라는 뜻입니다. 만약 미국 정부가 중국산 선박에 강력한 입항세를 부과한다면, 이들 선박은 더 이상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어려워질 것입니다.
⚙️ 벌크선 세부 유형별 중국산 비중
선형 (선박 종류)중국산 비중
Cape | 33% |
Mini Cape | 81% |
Panamax | 49% |
U-max | 45% |
Supramax | 38% |
Handy | 34% |
특히 Mini Cape, Panamax, U-max는 중국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 이들이 나르는 화물은?
중국산 비중이 높은 Panamax, U-max, Supramax, Handy 선형은 대부분 **곡물(GRAIN)**과 **철재(STEEL)**를 운반합니다.
따라서 이 선박들의 미국 입항이 제한되면, 곡물과 철강류 가격 상승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 앞으로의 시장 전망은?
- 중국산 벌크선의 미국 진출 제한 → 수급 불균형 → 곡물·철강 가격 상승
- 원자재 가격 상승 → 벌크선 운임 상승 가능성
- 현재 업황은 좋지 않지만, 2025년 하반기부터 벌크선 시장 반등 기대
지금은 벌크선 업황이 다소 침체되어 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시화되고 미국의 수입 구조에 변화가 생기면, 운임이 빠르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 결론
미국의 항구세 정책은 단순한 보호무역 조치에 그치지 않습니다. 글로벌 해운시장 전체의 흐름을 바꾸는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산 선박 비중이 높았던 벌크선 시장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해 보이며, 새로운 기회를 선점하는 국가와 조선소가 누가 될지도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입니다.
벌크선의 2025년 하반기, 기대해볼 만합니다.
반응형
'무(릉)도(원)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주차 조선업종 리뷰 – 대통령 탄핵 이슈 속 조선주는? (0) | 2025.04.08 |
---|---|
"트럼프 발 관세전쟁에 맞선 한국 산업의 대응: 생산 기지 미국으로 이전" (0) | 2025.04.06 |
"미국의 상호 관세, 한국 경제에 기회가 될 수 있다?" (0) | 2025.04.06 |
한화그룹, 김승현 회장의 지분 증여로 재벌 3세 승계 '완료' (0) | 2025.04.05 |
향후 10년간 LNG 운반선 수요 급증, 한국 조선업계 수혜 예상 (1) | 2025.04.03 |